반응형

잠재프로파일분석 2

[Mplus] 잠재계층분석(LCA)/잠재프로파일분석(LPA) syntax 설명 (2)

지난 포스팅에서 Mplu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 LCA)과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의 기본 syntax를 설명하였다. 그런데 댓글로 잠재계층분석 혹은 잠재프로파일분석에 관한 추가 질문이 많이 달려, 보충 설명을 하고자 이번 포스팅을 준비하였다. 이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LCA 혹은 LPA 분석에서 도출된 계층에 대한 기술통계분석(평균, 표준편차) 결과를 확인하는 방법과 잠재계층을 데이터로 저장하는 법에 대해 다룰 것이다. *설명을 위해 노언경, 정송, 홍세희 (2014)의 데이터 분석을 따라해보고자 한다. 해당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1년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지원방안 연구 자료를 사용하였다. 원..

통계공부/Mplus 2022.12.18

논문에서 자주 인용되는 선행연구(2): 잠재계층분석/잠재프로파일분석 관련 논문

이번 포스팅에서는 잠재계층분석 혹은 잠재프로파일분석과 관련하여 자주 인용되는 논문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 잠재계층분석 및 잠재프로파일 분석 관련 포스팅: 2020/04/20 - [통계 공부/Mplus] - [Mplus] 잠재계층분석(LCA)/잠재프로파일분석(LPA) syntax 설명 2020/09/26 - [통계 공부/Mplus] - [Mplus] 잠재성장계층분석(LCGA) syntax 설명 Lo, Y., Mendell, N. R., & Rubin, D. B. (2001). Testing the number of components in a normal mixture. Biometrika, 88(3), 767-778. Muthén, B., & Muthén, L. K. (2000). Integrating..

논문 작성 2021.02.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