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포스팅에 이어 한국아동패널의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한 서미정(2011)의 논문을 따라 통계 분석을 진행해보았으며, 참고문헌은 아래와 같다.
서미정(2011). 부모의 심리사회적 특성이 후속 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 유자녀 가구를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 5(1), 127-148.
이전 포스팅에 이어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5. 모 연령
어머니의 연령에 대한 빈도분포를 알기 위해 사용할 변수는 "모" 연령(EMt08dmg006)이다. 기존 변수는 만 연령을 물어 19, 20, ... 45, 46과 같이 연속변수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서미정(2011)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나타낸 <표 1>에서 모 연령의 응답 범주를 19~24세, 25~29세, 30~34세, 35~39세, 40~46세로 수정하여 나타냈으므로 이와 동일한 응답 범주를 가지는 새로운 변수 M_age를 만들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M_age라는 새로운 변수를 생성하고(ⓐ), EMt08dmg006의 변숫값을 기준으로 조건문을 걸어 M_age의 변숫값을 수정해나갈 것이다(ⓑ).
ⓐ : gen M_age=.
ⓑ : replace M_age=1 if (EMt08dmg006>=19 & EMt08dmg006<=24)
replace M_age=2 if (EMt08dmg006>=25 & EMt08dmg006<=29)
replace M_age=3 if (EMt08dmg006>=30 & EMt08dmg006<=34)
replace M_age=4 if (EMt08dmg006>=35 & EMt08dmg006<=39)
replace M_age=5 if (EMt08dmg006>=40 & EMt08dmg006<=46)
M_age에 대한 label을 지정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코드를 입력한 뒤, 빈도분포를 제시하면 사진과 같은 결과가 나온다.
label define M_age 1 "19~24세" 2 "25~29세" 3 "30~34세" 4 "35~39세" 5"40~46세"
label values M_age "M_age"
6. 모 취업/학업
어머니의 취업 및 학업 여부에 관한 빈도분포표는 변수 "모" 취업/학업 상태(DMt08jcg003)을 통해 알 수 있다. 기존 변수와 논문에서 제시한 응답 범주가 동일하기 때문에, tab 명령어를 통해 빈도분포를 확인하고 넘어가면 된다.
지금까지 서미정(2011)의 논문을 보고 한국아동패널 1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패널 데이터 분석을 진행하였다. 해당 포스팅 시리즈 1편에서는 최종 표본과 사용할 변수를 선정하여 분석 데이터셋을 만들고, 2편~5편에서는 <표 1> 조사대상자의 인구학적 및 사회경제적 특성과 같은 결과를 얻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였다. 이후 포스팅에서는 ①자녀수와 어머니의 연령에 따른 후속 출산계획의 응답 빈도 분석, ②자녀수 및 어머니의 연령에 따른 추가 출산하지 않는 이유 분석, ③변인간 상관관계 분석, ④후속 출산계획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진행할 것이다.
'통계공부 > Stat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 따라 패널 데이터 분석하기: 서미정(2011)(7) (0) | 2021.03.29 |
---|---|
논문 따라 패널 데이터 분석하기: 서미정(2011)(6) (0) | 2021.03.27 |
논문 따라 패널 데이터 분석하기: 서미정(2011)(4) (0) | 2021.03.18 |
논문 따라 패널 데이터 분석하기: 서미정(2011)(3) (0) | 2021.03.17 |
논문 따라 패널 데이터 분석하기: 서미정(2011)(2) (0) | 2021.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