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리뷰

18개월 - 5세 아동의 타인중심적 공간기억 능력의 발달(Ribordy et al., 2013)(2)

대학원생A씨 2020. 3. 10. 09:24
반응형

*본 포스팅에서 사용한 이미지는 모두 원문의 이미지를 갖고 온 것입니다.

*해당 포스팅은 제가 읽은 논문에 대한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스스로 논문 읽는 습관을 들이기 위해 포스팅을 작성하였습니다. 포스팅 내용을 보고 흥미가 생기신 분들은 직접 원문을 읽어보는 것을 권합니다.

Ribordy, F., Jabès, A., Lavenex, P. B., & Lavenex, P. (2013). Development of allocentric spatial memory abilities in children from 18 months to 5 years of age. Cognitive Psychology, 66, 1-29. 

*Abstract 

: 18개월-5세 아동을 대상으로 일화 기억의 기본 구성 요소인 타인중심적 공간기억의 발달양상을 밝히기 위해 실험연구를 진행함. 연구결과, 기본적인 타인중심의 공간기억 능력은 2(영아기 기억상실이 사라지는 시기)에 형성되어 이후 3.5세까지(유아기 기억상실이 지속되는 시기) 점진적으로 발달하는 양상을 보임. 이를 통해 타인중심적 공간기억을 담당하는 해마 회로의 차별화된 성숙기제가 영유아기 특정 기억과정을 설명한다는 결론을 도출해냄.

 


2. 실험1

2.1 연구방법

  · 연구참여자: 44명의 아동(: 24/: 20)이 이틀 연속으로 두 번의 실험(각각 45)에 참가

  · 실험시설

  · 실험절차

    - 실험 시작 전, 연구참여자는 testing arena 앞에서 18개의 컵이 배치된 실험 공간을 자유롭게 살펴봄. 다음으로 연구보조원은 연구참여자에게 간식을 컵에 숨기는 것을 보여준 후, 간식이 어디에 있는지 물어봄

    - Local Cue trial (LC): 간식이 숨겨진 컵을 빨갛게 표시함 아동이 지역적 단서가 표시된 장소에서 보상을 찾을 수 있는 능력 시험 + 연구참여자의 전반적인 참여 동기를 측정

    - Allocentric Spatial trial (AS): 간식이 숨겨진 곳과 그렇지 않은 곳 모두 하얀 컵 ☞ 아동이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타인중심적 공간 표상을 사용해야 함

    - LC1, AS1, LC2, AS2, / AS6 LC10 AC10 보상 장소에 대한 장기 기억(24h) 측정

    - 실험과정에서 유아에게 어떠한 언어적 설명이나 피드백이 주어지지 않을 경우, 아동은 불편함을 느껴 과제 수행을 원활히 하지 못함(Lavenex & Lavenex, 2010) 아동이 과제수행을 성공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구두 지시와 격려를 제공함. 하지만 보상 위치에 대한 단서는 절대 제공하지 않음 + 까만 선글라스 착용

    - 출입 조건: 모든 출입구는 이틀 동안 두 조건에서 같은 횟수만큼 사용 바로 전 실험에서 퇴장한 문을 통해 실험 장소에 입장 불가 연속한 두 번의 실험에서 같은 입구를 쓸 수 없음 모든 입장은 아이가 이전 시험에서 나온 문과 같은 쪽에서 해야 함

 

  · 데이터 분석

    - 보상 장소와 보상이 없는 장소를 구분했는지의 여부를 판단(correct/incorrect)

    - 각 조건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시행은 아이들이 과제의 규칙을 배우는 과정이기 때문에 각 조건에서 마지막 8회만을 분석에 사용

    - 해당 선택을 할 확률에 따라 특정 유형의 선택의 수를 표준화함

    - AS에서 연령에 따른 수행능력 차이가 나타나, 42개월 이하/43개월 이상 집단으로 구분

 

2.2 연구결과 & 2.3 논의

· Newcombe et al. (1998)의 결과와 달리, 42개월 이하의 영유아는 주변 환경에 대한 타인중심적 공간표상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 실험환경이 너무 복잡하여 이런 실험결과가 나온 것이라 추측되어, 좀 더 간단한 실험환경을 구성하여 실험2를 진행함.

 

 

 

3. 실험2

3.1 연구방법

  · 연구참여자: 38명의 아동(: 17/: 21)참가

  · 실험시설

[왼쪽] 실험1, [오른쪽] 실험2

  · 실험절차: 절반의 아이들은 보상장소 2번, 나머지 반은 4번으로 배정

  · 데이터 분석: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24개월 이하/25개월 이상 집단으로 구분

 

2.2 연구결과 & 2.3 논의

· Newcombe et al. (1998)의 결과와 유사하게, 22개월을 전후로 타인중심적 공간기억 능력이 출현한다는 결론이 도출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