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리뷰

청소년기, 청소년, 그리고 미디어(Roberts et al., 2009)(2)

대학원생A씨 2020. 4. 10. 08:30
반응형

이전 포스팅에 이어 오늘은 청소년기 미디어에 관한 핸드북 내용 정리를 하고자 한다. 해당 포스팅은 제가 논문 읽는 습관을 들이기 위해 작성하고 있는 것으로, 포스팅 내용을 보고 흥미가 생기신 분들은 직접 원문을 읽는 것을 권합니다.

 

Donald F. Roberts, Lisa Henriksen, and Ulla G. Foehr (2009). Adolescence, adolescents, and media. In Handbook of adolescent psychology (pp. 314-344). Hoboken, NJ: Wiley.

 


. Digitally Mediated Social Interaction

 

· 청소년들에게 디지털 미디어(컴퓨터, 스마트폰)대인관계의 연결을 촉진시켜준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다.

 

· 청소년들이 온라인에서 주로 하고 있는 11가지 의사소통 유형: 이메일, 인스턴트 메세징, 텍스트 메세징, 채팅, 게시판, 블로그, SNS, 영상 공유, 사진 공유, MMORPG, 가상세계

 

· 인터넷은 디지털에서의 사회적 의사소통의 기반을 제공하며, 의사소통의 매개체로 핸드폰은 청소년들에게 필수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 12세에서 17세 중 93%가 인터넷을 적어도 가끔은 사용한다고 응답하였다(The Pew Internet & American Life Project, 2006).

    - 12-17세 청소년 중 63%가 본인 핸드폰을 소지하고 있었으며, 60%가 적어도 일주일에 한 두 번 이상 친구들과 이야기 하기 위해 핸드폰을 사용한다고 응답하였다(The Pew Internet & American Life Project, 2006).

 

· 온라인 콘텐츠 제작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 12-17세 청소년 중 59%가 온라인 콘텐츠 제작(사진, 이야기, 비디오 등과 같은 개인 창작물 공유, 웹페이지/블로그 제작, 개인 웹페이지 제작 등)을 했다고 응답하였다.

    - Facebook, Myspace와 같은 소셜 네트워킹 어플리캐이션은 청소년들의 온라인 콘텐츠 제작을 용이하게 하며, 이로 인해 청소년들에게 참여적 미디어(participatory media)”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 콘텐츠 제작 및 공유 문화가 중요해지고 있지만 소셜 네트워크에서 “social”, 사회적 접촉을 시작하고 유지하는 기능이 가장 핵심이다.

    - SNS를 사용하는 청소년 중 80%이상이 자주 보지 못하는 친구들과 연락하기 위해 SNS를 사용한다고 응답하였으며, 91%는 개인적으로 자주 보는 친구들과 연락하기 위해 SNS를 사용한다고 응답하였다,

    - 청소년들은 기존의 매체를 대체하기 위해 새로운 매체를 사용하기보다는 기존 매체와 더불어 새로운 매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소셜 네트워크가 면대면 의사소통을 대체할 것이라는 우려는 적절하지 않다.

 

· 청소년기 주요 발달과업을 고려할 때, 디지털에서의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타인(가족, 또래, 낯선 사람 등)과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Subrahmanyam & Greenfield, 2008)

    - 낯선 사람과의 접촉 용이해진다.

      ▶ 우려점: 괴롭힘, 편파적인 발언(hate speech), 성적 교사의 대상(sexual solicitation)

          - 이러한 온라인에서의 위험은 특히나 어리거나 문제가 있는 청소년들에게 더욱 심각하다(Wolak, Mitchell, & Finkelhor, 2003).

          - 2000-2005년 사이 법 집행과 교육의 효과로 인해 원치 않는 성적 교사나 괴롭힘의 발생 건수는 감소하였지만, 괴롭힙이나 원치 않는 성적 내용에 노출된 청소년의 비율은 증가하였다(Wolak, Mitchell, & Finkelhor, 2007).

      ▶ 긍정적 효과

          - 모르는 사람과의 온라인 의사소통은 외로움이나 사회적 긴장과 같은 감정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Gross, Juvnen, & Gable, 2002).

          - 다양한 사람들로부터 음악, 스포츠, 건강 문제, 대인 관계, 성적 문제 등에 대한 폭 넓은 의견을 들을 수 있다(Suzuki & Beale, 2006; Suzuki & Calzo, 2004).

           - 청소년들이 온라인에서 정보획득을 하려는 이유: 의사소통의 익명성 보장, 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음, 친구나 가족에게 물어봤을 때와 달리 폭 넓고 깊이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음, 편리성

    - 디지털에서의 의사소통이 가족/또래/낭만적 관계, 학업성취, 그리고 자아정체감 발달에 미치는 영향

      Subrahmanyam & Greenfield (2008): 장단점이 모두 존재하지만 단점보다는 장점이 크다. 디지털에서의 의사소통이 문제행동을 유발하기 보다는,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문제행동이 단순히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옮겨간 것이다.

 

· 청소년의 온라인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는 아직 걸음마기 단계로, 후속 연구에서는 급격히 변화하는 온라인 의사소통 양상을 반영할 필요가 있으며, 종단자료를 사용하여 인과관계를 추론할 수 있어야 한다.

 


해당 포스팅을 정리하면서 n번방 사태를 떠올릴 수 밖에 없었다. 정말 포스팅에 담기도 싫은 그 역겨운 가해자들을 언급하고 싶진 않았지만, 텔레그램 n번방과 같이 디지털에서의 의사소통이 낯선 사람과의 접촉을 용이하게 한다는 점에서 청소년들을 보호할 방안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디지털에서의 의사소통은 분명히 장단점이 존재하고, 해당 미디어 자체가 문제라기 보다는 그 미디어를 사람들이 어떻게 사용하는지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n번방 운영자와 관람자 모두 처벌을 받길 바라며, 이러한 위험으로부터 피해 받는 사람이 다시는 나오지 않도록 우리 사회가 다 같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