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리뷰

청소년기, 청소년, 그리고 미디어(Roberts et al., 2009)(4)

대학원생A씨 2020. 4. 21. 08:45
반응형

이번 포스팅도 이전 포스팅에 이어 청소년기 미디어에 관한 핸드북 내용을 정리하고자 한다.

 

Donald F. Roberts, Lisa Henriksen, and Ulla G. Foehr (2009). Adolescence, adolescents, and media. In Handbook of adolescent psychology (pp. 314-344). Hoboken, NJ: Wiley.

 

*해당 포스팅은 제가 논문 읽는 습관을 들이기 위해 작성하고 있는 것으로, 포스팅 내용을 보고 흥미가 생기신 분들은 직접 원문을 읽는 것을 권합니다.

 


. Media Effects on Adolescents

 

A. Violence and aggression

· 미디어 콘텐츠 중에서도 특히 TV와 영화, 그리고 게임에서 폭력이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 미디어에서 폭력이 묘사되는 방식은 시청자로 하여금 폭력적인 행동에 대해 감각을 저하시키고 학습을 증진시키게 한다. 예를 들어, TV에서 폭력을 묘사할 때, 폭력에 대한 처벌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때로는 폭력을 정당화하기도 하며, 매력적인 인물에 의해 폭력이 수행되는데 이러한 묘사들은 폭력에 대한 학습을 증진시킨다.

· 1960년대 두 실험 연구(Bandura, Ross, & Ross, 1963; Berkowitz & Rawlings, 1963)를 통해 시청각 자료를 통해 폭력에 노출되는 것이 아동·청소년의 공격적 반응을 증가시킨다는 것이 입증되면서 이후 많은 연구들이 미디어 폭력의 영향을 입증하였다(Gentile, 2003; Kirsh, 2006; Potter, 2002; Strasburger, Wilson, & Jordan, 2009).

· 폭력적인 내용 시청량과 공격적 태도/행동 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꾸준히 보고된다(Belson, 1978; McIntyre & Teevan, 1972).

· 이외에 종단연구와 메타분석 연구결과에서도 폭력적인 내용의 미디어 시청이 공격성을 증가시킨다는 결과를 입증한다(Bushman & Anderson, 2001; Heusmann & Miller, 1994).

☞ ① 폭력에 대한 미디어의 묘사는 이후 상황을 해석하는 데 사용되는 인지적 도식에 영향을 미쳐 개인의 행동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② 폭력 묘사에 대한 감수성은 개인의 경험, 능력, 요구, 관심사, 감정적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진다.

    ③ 폭력이 어떻게 묘사되는지에 따라 해당 내용에 대한 개별 해석이 달라진다.

          ▶ 효과성: 폭력행위가 보상받았는지, 처벌받았는지, 성공적이었는지, 유용하였는지?

          규범성: 폭력행위가 정당화되었는지, 혹은 사회적 규범에 의해 수용되었는지?

          관련성: 폭력행위가 시청자에게 친숙하거나 마주할 가능성이 높은 행위인지?

· 폭력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전자 게임도 중요한 주제로 인식되고 있다.

    - 전자 게임은 다른 매체에 비해 폭력행위에 깊게 몰입하게 만들 가능성이 높다.

    - 또한 폭력행위에 대한 보상이 직접적으로 주어진다.

· 미디어 폭력은 청소년기 비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에 불과하지만, 일부 상황에서는 미디어를 통한 폭력 노출이 비사회적 행동에 중요한 원인이 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B. Sexual beliefs and behavior

· 청소년기 주요 발달 과업 중 하나는 성적으로 성숙해져가는 몸과 감정에 적응하는 것이다.

· 성은 민감한 주제이기 때문에 청소년기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아, 청소년들은 미디어를 통해 성에 관한 지식을 습득할 가능성이 크다.

· 뿐만 아니라 다양한 미디어(TV, 음악 가사, 뮤직비디오, 영화, 잡지, 인터넷 등)에서 성적 내용을 많이 다루고 있어 청소년들은 비의도적 혹은 의도적으로 미디어로부터 성에 대해 학습을 하게 된다.

· 미디어가 성적 내용에 대해 어떻게 묘사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 TV는 성행위를 즐겁고 걱정이 필요없는 것으로 묘사하는 반면 성행위에 수반되는 위험이나 책임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 십대들에게 인기 있는 TV 프로그램의 경우 성행위와 관련된 위험을 묘사하기도 하지만, 이는 굴욕이나 실망, 죄책감과 같은 사회정서적 측면만 다룰 뿐 원치 않는 임신이나 성병과 같은 신체적 측면에 대해서는 묘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 미디어 이용 시 청소년들은 우연히 성에 대한 정보를 접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성적 정보를 의도적으로 획득하기 위해 TV, 잡지, 인터넷과 같은 매체를 사용하기도 한다.

· 미디어를 통한 성적 내용에 대한 노출이 청소년들의 성적 신념이나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 미디어를 통한 성적 내용에 대한 노출이 증가할수록, 혼전관계나 성적 문란함에 대해 수용적인 태도를 보이며(Strouse, Buerkel - Rothfuss, & Long, 1995; Zillman, 1994), 강간에 대한 반감이 감소하며(Brown, Childers, & Waszak, 1990; Zillman & Bryant, 1982), 연인과의 관계에서 성적 만족도가 낮아짐(Baran, 1976)

    ☞ 이는 성적 내용에 대한 노출이 성행위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형성하게 하며, 연인에 대한 신뢰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위와 같은 결과가 나온 것이라 해석된다.

· 성적 내용에 대한 노출과 성적 행위의 인과 관계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수 있는데, 최근 여러 종단연구결과들에 따르면(Collins, 2005; Martino et al., 2006), TV나 음악에 관계 없이 어린 나이에 성적 내용에 노출되는 것이 이후에 성적 행위의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