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학 자료/아동발달

놀이의 본질적 특성과 놀이 이론

대학원생A씨 2021. 6. 10. 09:30
반응형

이번 포스팅은 「놀이와 아동발달, 제4판」의 제1부(놀이의 맥락) 제1장 역사적·이론적 관점의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2019년에 누리과정이 놀이중심으로 개정되면서 보육교사로 하여금 놀이에 대한 이해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놀이와 아동발달, 제4판」을 참고하여 놀이의 본질적 특성을 알아보고 아동발달에서 놀이의 가치는 무엇인지, 놀이는 필요한 것인지, 놀이는 어떤 기능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놀이에 관한 여러 이론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놀이와 아동발달, 제4판」의 정확한 인용은 아래와 같다.

 

유미숙, 박영애, 유가효, 방은령, 장현숙, 천혜숙 (역) (2010). 놀이와 아동발달, 제4판. Fergus P. Hughes의 Children, Play, and Development. 서울: 시그마프레스.

 


놀이의 본질적 특성(Rubin, Fine, & Vandenberg, 1983)

  1. 놀이는 내재적으로 동기화 된 것이다. 즉, 놀이는 그 자체가 목적이다. 놀이를 하는 자체가 만족을 주기 때문에 하는 것이다.
  2. 놀이는 참여자가 놀이를 자유롭게 선택해야 한다. 아동이 놀도록 강요 당한다면, 아동은 주어진 활동을 결코 놀이로 생각하지 않을 수 있다.
  3. 놀이는 즐거워야 한다. 
  4. 놀이는 사실 그대로의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즉, 놀이는 놀이하는 사람의 흥미에 맞추어 현실의 왜곡과 가장이라는 요소를 포함한다. 이는 유아기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상질놀이에서 특히 그러하다. 
  5. 놀이는 놀이하는 사람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다. 아동은 하고 있는 것에 수동적이거나 무관심하기보다는 신체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몰입해야 한다.

 

놀이의 이론

고전적 이론

  • 초기의 놀이 이론은 19세기 초부터 20세기 전반에 걸쳐 나타났는데, 놀이의 생물유전학인 중요성을 강조했다.
  • 즉, 놀이가 최적의 신체발달을 촉진시키거나 인류의 진화론적 역사를 반영하는 본능적 기제라는 것이다.
  • Herbert Spencer(1873)의 잉여에너지 이론(surplus energy theory)의 경우 놀이가 아동의 남아도는 에너지를 방출하도록 하는 데 필요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 G. T. W. Patrick(1916)은 Spencer와 반대로 놀이의 목적은 에너지의 재생으로, 아동이 놀이를 하는 이유는 신체의 자연적 동작기능이 회복되는 동안 지루함을 피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하였다.
  • G. Stanley Hall은 반복 이론(recapitulation thoery)에서 개인의 발달은 전 인류의 진화적 진보를 반영하는 것으로, 아동의 놀이 역시 인류의 진화적 역사의 시기를 다시 사는 것이라 이야기하였다.
  • Karl Groos(1901)는 놀이가 성인 생활의 과업에 그 스스로를 준비시키는 신체의 자연적 방식이라고 제안하였다.

 

현대의 이론

  • 현대적 견해의 놀이 이론은 놀이의 심리학적 가치아동의 지적, 사회적, 정서적 발달에 있어 놀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정신분석 이론에 따르면 놀이의 가치는 아동의 불안을 감소시킨다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정서적인 측면에 초점이 맞춰 있다. 예를 들어, Erik Erikson은 놀이가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고양시키는 신체적, 사회적 기술의 발달을 가져오기 때문에 자아를 구축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 인지 이론가들은 놀이를 지적 성장을 촉진하는 수단으로 생각한다. 예를 들어, Jerome Bruner(1972)와 Brian Sutton Smith(1967)는 아동이 다양한 문제해결을 학습할 수 있는 편안하고 이완된 분위기를 놀이가 제공한다고 주장하였다. 반면 대표적인 인지 이론가 Jean Piaget는 놀이가 지적인 성장을 자극하기보다는 사고의 발달을 반영하는 것으로 취급했다. 즉, 그는 놀이는 지적 발달을 반영하며 발달은 놀이를 이끌어 내는 것으로 보았다.
  • 각성조절 이론(arousal modulation theories)에서는 아동이 충분한 양의 환경적 자극이 없을 때, 환경적 자극을 만들어 내기 위해 놀이를 이용한다고 보았다(Berlyne, 1969). 
  • 위의 이론들(정신분석, 인지 이론, 각성조절 이론)은 놀이의 단계와 놀이의 이유가 모든 문화의 아동에게 동일한 방식으로 일어나는 보편적인 것이라고 보았다. 반면 맥락 이론아동발달은 발달이 일어나는 사회문화적, 역사적 상황에 대한 언급이 없이는 결코 완전히 이해될 수 없다는 믿음에 근거를 두고 있다. 대표적으로 Vygotsky는 영아 발달은 주로 내적인 기제에 의해 설명될 수 있고, 영아기 이후의 발달은 환경적 맥락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는다고 보았다. 이러한 사회적 맥락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기에, 그는 '근접발달 영역'이라는 개념을 제시하였다. 근접발달 영역이란 혼자 할 때의 아동의 실제 수행과 다른 사회적 상황에서의 잠재적 능력 간의 거리로, 교육자들은 아동을 그들의 근접발달의 영역에서 관찰하고 아동의 기존 이해 위에서 구축되는 적절한 학습경험을 만들어 실제로 아동의 발달을 진전시킬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