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리뷰

청소년기, 청소년, 그리고 미디어(Roberts et al., 2009)(3)

대학원생A씨 2020. 4. 14. 09:25
반응형

이전 포스팅들에 이어 오늘은 청소년기 미디어에 관한 핸드북 내용 정리를 하고자 한다.

☞ 이전 포스팅: 2020/04/03 - [논문 리뷰] - 청소년기, 청소년, 그리고 미디어(Roberts et al., 2009)(1)

                    2020/04/10 - [논문 리뷰] - 청소년기, 청소년, 그리고 미디어(Roberts et al., 2009)(2)

 

Donald F. Roberts, Lisa Henriksen, and Ulla G. Foehr (2009). Adolescence, adolescents, and media. In Handbook of adolescent psychology (pp. 314-344). Hoboken, NJ: Wiley.

 

*해당 포스팅은 제가 논문 읽는 습관을 들이기 위해 작성하고 있는 것으로, 포스팅 내용을 보고 흥미가 생기신 분들은 직접 원문을 읽는 것을 권합니다.

 


 

. Media and Adolescent Development

 

· 발달 이론을 적용하여 청소년기 미디어 사용의 효과를 살펴본 연구들은 두 가지 사항을 전제: 성인으로 성장해 나가는 청소년기의 발달 과업이나 문제에 주의를 기울임 청소년기를 자신의 자아를 탐색해보는 심리적 분열의 시기로 봄

· 청소년기 주요 발달 과업은 자아정체감의 형성으로 다양한 경험들을 통해 자신만의 가치, 신념 등을 형성해 나가는 것이다. 이 과정은 급격한 변화와 불확실성을 수반하기 때문에 청소년들은 관련 정보를 탐색하고자 하는데, 이 시기 정보 탐색의 통제권에 있어 부모보다는 자신의 영향력이 증대한다.

+ 미디어의 특성상 어른들이 주로 무시하거나 이야기하지 않는 주제들(예를 들면 성, 약물 등)에 대해 다루는데, 이는 성인으로의 사회화를 진행 중인 청소년들에게 미디어는 강력한 정보원으로 작용할 수 있음

 

A. Motivations for media use

· 미디어 사용의 5가지 이유(Dominick, 1996): 주의 전환(diversion), 인지(cognition), 사회적 기능(social utility), 철회(withdrawal), 개인의 정체성(personal identity)

· 위와 같은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매체 선택의 성향은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 매체 선택을 통해 충족되는 요구는 의도한 바와는 다를 수 있다.

   - 지루함을 피하기 위해 TV를 시청하고자 하였지만 최신 유행에 대한 정보를 우연히 습득할 수 있다.

· 청소년의 미디어 사용목적 중 사회적 기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미디어, 특히 음악 매체는 청소년들에게 또래를 대신하여 외로운 감정을 완화시켜주는 준사회적(quasi-social)” 기능을 제공한다(Gantz, Gartenberg, Pearson, & Schiller, 1978; Larson et al., 1989; Roe, 1984).

   - 음악 청취는 또한 또래지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자본으로 작용할 수 있다(Adoni, 1978; Brown & O’ Leary, 1971).

 

B. Theoretical approaches to media effects

· 미디어의 영향력에 관한 3가지 이론적 접근:

배양이론(cultivation theory)

사회인지이론 관찰학습(social cognitive theory observational learning)

도식적 정보처리 이론(schematic information processing)

 

배양이론(cultivation theory)

· 일반적으로 대중 매체, 특히 TV는 매체의 편파적인 관점을 숨긴 채 세상에 대한 특정 단면만을 제시한다.

· 대부분의 사람들은 미디어를 비선택적으로 소비한다.

· 미디어에 많이 노출될수록 개인은 매체의 세계관을 수용하도록 배양”된다.

☞ 실제 TV 노출과 특정 신념/태도에 관한 상관 연구가 다수 있다.

   예를 들어, TV시청 시간이 많은 청소년일수록 혼자서 밤에 도시를 걸어다니기 무섭다고 응답하였으며Gerbner et al., 1979), TV시청량이 많은 청소년은 TV시청량이 적은 청소년에 비해 폭력 발생 비율을 높게 응답하였다(Gerbner et al., 1979).

 

사회인지이론- 관찰학습(social cognitive theory observational learning)

· 인지 및 심리적 과정(미디어의 묘사 방식에 따라 관찰된 행동의 학습과 수행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초점을 둔다.

· 미디어가 제공하는 정보에 대해 생각하거나 주의를 기울일 때, 개인은 새로운 지식을 획득하거나 기존의 정신표상을 수정하게 된다.

· , 미디어로부터 관찰되고 학습된 내용은 해당 내용의 표현 방식(: 특정 행동이 보상을 받았는가? 매력적인 모델이 특정 행동을 수행하였는가?)과 관찰자의 특성(: 연령, 성별, 기존의 신념 및 태도)에 모두 영향을 받는다.

   - 공격적인 행동에 대해 처벌을 받는 내용을 시청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공격적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감소하였다(Bandura, Ross, & Ross, 1963).

 

도식적 정보처리 이론(schematic information processing)

· 개인의 정신표상이 사회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 도식 접근성(schema accessibility)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도식 형성에 있어 미디어의 역할에 주목한 이론이다.

· 개인의 정신표상은 새로운 정보 해석에 일정 수준 영향을 미치며, 개인 및 맥락적 특성에 따라 그 영향력이 달라진다.

   - 예를 들어, 동일한 싸움 장면을 봤을 때, 어떤 사람에게는 폭력성/공격성의 감정이 유발되는 반면 다른 사람에게서는 피해자의 관점에서 고통, 두려움의 감정이 유발될 수 있다.

   - 즉, 미디어에서 묘사된 내용에 대한 해석은 개인이 어떠한 도식을 가지고 장면을 해석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 개인의 정신표상을 통해 묘사된 내용을 해석하는 과정은 이후의 도식 접근성에 영향을 미친다. , 싸움 장면을 본 개인은 싸움 장면을 보지 않은 경우에 비해 이후 애매모호한 장면에 대해 공격적이거나 무서운 내용이라고 해석할 가능성이 크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