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작성

논문에서 자주 인용되는 선행연구(3): 구조방정식 관련 논문

대학원생A씨 2021. 2. 19. 09:15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논문에서 자주 인용되는 선행연구들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진행할 경우,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들어간다. 이 때, 모형의 적합도는 주로 적합도지수(RMSEA, CFI, TLI 등)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러한 적합도지수의 기준들에 대해 정리한 선행연구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와 관련된 선행연구들. 엄청난 인용수를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에 관한 Mplus syntax는 이전 포스팅에서 소개한 적이 있으므로, 이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면 되겠다. ☞2020/03/24 - [통계 공부/Mplus] - [Mplus] 구조방정식(SEM) syntax 설명

 

[Mplus] 구조방정식(SEM) syntax 설명

이번 포스팅에서는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의 Mplus syntax를 설명하고자 한다. Mplus 기본 신텍스에 대한 설명은 이전 포스팅에서 했으며, 오늘 사용할 예제 역시 이전 포스팅과 마찬

graduationplease.tistory.com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 136-162). Newbury Park, CA: Sage.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 1-55.

 

그릿(Grit)의 요인구조와 타당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실시한 임효진(2017)은 그릿 척도의 요인구조를 파악하고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Browne & Cudeck (1993)Hu & Bentler (1999)의 선행연구가 인용된 부분은 아래와 같다.

 

각종 모형 적합도 지수(fit index)들을 근거로 제안된 모형들을 비교하였다. 먼저 χ2 검증은 모형과 자료의 일치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나, 표본 크기에 민감하기 때문에(Browne & Cudeck, 1993), 이에 상대적으로 사례수에 덜 민감한 CFI(Comparative Fit Index), TLI(Tucker-Lewis Index), RMSEA(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의 크기를 고려하였다. 일반적으로 CFI TLI는 그 값이 클수록, RMSEA는 작을수록 적절한데, CFI TLI .90이상일 때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며, RMSEA .08이하면 양호한 적합도, .05이하면 매우 좋은 적합도로 간주된다(Browne & Cudeck, 1993; Hu & Bentler, 1999).

 

 

우리나라 대학생을 대상으로 거부민감성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박명진, 양난미(2017)는 한국 대학생 거부민감성척도의 요인구조가 다른 표집에서도 타당한 결과가 나오는지 확인하기 위해 새로운 표본을 대상으로 확인적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Hu & Bentler (1999)의 선행연구가 인용된 부분은 아래와 같다.

 

모형적합도 지수는 기본적인 표준화된 카이자승과 표본크기의 민감성과 모형의 간명 성, 해석가능성 등을 고려해 RMSEA, TLI, CFI, GFI를 확인하였다. (중략) 절대적 적합도 지수인 RMSEA는 .05이하 일 때 좋은 적합도, .08이하 면 보통 적합도, .10이상이면 나쁜 적합도로 판정되며(Hu & Bentler, 1999) 상대적 적합도 지수인 TLI, CFI, GFI는 .90이상이면 좋은 적합 도로 해석한다(배병렬, 2011).

 

마지막으로 중학생의 학교폭력 피해경험 및 가해경험의 변화 양상을 다변량 다층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살펴본 노언경, 이현정, 이은수, 홍세희(2017)는 연구결과 파트에서 Hu & Bentler (1999)가 제시한 모형 적합도 지수에 따른 연구 모형의 적합도를 판단하고 있다.

 

모형 적합도 지수를 살펴본 결과, CFI와 TLI, RMSEA도 Hu와 Bentler(1999)의 기준(CFI>.95, TLI>.95, RMSEA<.06)에 의해 적합하였다. 집단 내 모형과 집단 간 모형으로 구분해서 제시한 SRMR은 Hu와 Bentler (1999)에 의하면 RMSEA를 .06보다 작을 때 좋은 적합도라고 하는 경우 SRMR은 .11과 같거나 작으면 적합하다는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SRMR의 두 가지 값도 기준에 만족하였으므로, 본 연구의 모형이 적합하게 설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