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공부/개념 및 이론

홍두승, 설동훈(2012). 사회조사분석 - Ch1. 과학적연구

대학원생A씨 2021. 2. 26. 09:00
반응형

통계공부 메뉴에서 새로운 포스팅으로 홍두승과 설동훈이 집필한 「사회조사분석」의 내용을 정리하고자 한다. 사회과학을 공부하는 학생이라면 한 번쯤 봤을 책으로, 사회조사분석에 대한 내용을 집필한 책이다. 해당 포스팅은 저자의 통계 공부를 위해 「사회조사분석」의 내용을 정리한 것이므로 모든 출처는 아래와 같다.

 

홍두승, 설동훈(2012). 「사회조사분석」. 서울: 다산출판사

 


Ch1. 과학적 연구

사회과학과 통계적 방법

*사회과학적 분석에서 통계학적 방법 적용의 장점

통계학적 방법론과 모형들을 통해 사회현상에 대한 일반 법칙을 발견할 수 있다. 이 때 사회현상의 본질을 좀 더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간결성의 원칙(principle of parsimony)’이 작용한다. 간결성의 원칙이란 가급적 적은 수의 변수로 보다 많은 현상을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통계학적 방법은 하나의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적인 변수의 중요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해 준다.

통계학적 기법은 자료축소기제(data reduction mechanism)를 제공한다. 자료를 최대한 축소하여 개별 자료의 개별성, 독특성보다는 보편성, 대표성이 중요시 된다.

 

 

연구의 과정과 모형

*개념적 정의 vs. 조작정 정의

: 개념적 정의(conceptual definitions)는 어떤 개념을, 그 특성을 나타내는 보다 간단한 다른 용어를 이용하여 규정하는 것이다. 반면 조작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s)는 어떤 개념을 관찰 내지 경험적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명확하게 표현한 용어이다.

 

*연역적 방법(deductive methods) vs. 귀납적 방법(inductive methods)

: 연역적 방법(deductive methods)은 이론으로부터 가설을 설정하고 가설의 내용을 현실세계에서 관찰한 다음, 관찰에서 얻은 자료가 어느 정도 가설에 부합되는가를 판단하여 가설의 채택 여부를 결정짓는 방법이다. 반면 귀납적 방법(inductive methods)은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그것을 정리, 분석하여 일반적인 유형을 찾아내어 그것을 근거로 잠정적 결론에 도달하는 것이다.

 

 

연구의 요소들

1) 가설

: 작업 가설은 작업가설 속에 포함되는 모든 변수들을 조작적으로 명확하게 정의해 주어야 하고(명료성), 가급적 연구자의 편견이 스며들지 않도록 해야 하며(가치 중립적), 단순히 관계의 유무만을 서술하기보다는 관계의 방향까지 명시해 주어야 한다(특정화). 마지막으로 작업 가설은 경험적으로 검정 가능해야 한다.

 

2) 변수

 

3) 인과적 관계

 

4) 검정요인

: 두 변수 XY의 관계가 Z에 의한 것인가를 판별해 보고자 할 때, 검정요인(test factor)라고 불리는 제3의 변수 Z를 도입하여 분석한다. 만약 Z를 도입하였을 때에 원래의 관계가 변화한다면, Z는 그 두 변수의 관계에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 검정요인의 종류에는 외적 변수(extraneous variable), 매개변수(intervening variable), 선행변수(antecedent variable), 구성변수(component variable), 억제변수(suppressor variable), 왜곡변수(distorter variable)이 있다.

 

5) 분석의 단위

생태학적 오류 vs. 개인주의적 오류

: 생태학적 오류(ecological fallacy)란 집한 단위의 자료를 바탕으로 개인의 특성을 추리할 때에 저지를 수 있는 오류인 반면, 개인주의적 오류(individualistic fallacy)는 개인의 특성에서 집단이나 사회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할 때 발생하는 오류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