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리뷰

청소년기, 청소년, 그리고 미디어(Roberts et al., 2009)(5)

대학원생A씨 2020. 9. 27. 15:31
반응형

이번 포스팅은 청소년과 미디어에 관한 Roberts et al. (2009)의 내용을 정리하는 마지막 포스팅으로, 이전 내용은 앞선 포스팅을 참고하길 바란다. 또한 논문 리뷰 리스트에 있는 포스팅들은 제가 논문 읽는 습관을 들이기 위해 작성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포스팅 내용을 보고 흥미가 생기신 분들은 직접 원문을 읽는 것을 권합니다.

 

Donald F. Roberts, Lisa Henriksen, and Ulla G. Foehr (2009). Adolescence, adolescents, and media. In Handbook of adolescent psychology (pp. 314-344). Hoboken, NJ: Wiley.

 


Ⅳ. Media Effects on Adolescents

 

C. Body image

 주요 미디어에서 신체상에 대해 많이 다루고 있을 뿐만 아니라 청소년기 신체 건강의 중요성으로 인해 미디어가 신체상에 미치는 영향은 중요한 문제로 다루어진다.

 미디어와 신체상에 관한 연구는 주로 어린 여성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이는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더 높은 비율의 신체불만족과 섭식장애가 보고되기 때문이다.

· 미디어는 지나치게 마른 몸매를 이상화함으로써 청소년기 발달 과업 중 하나인 긍정적인 신체상을 형성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 뷰티/패션 잡지에서는 마르거나 체중 감량에 대해 높은 가치를 부여하고,

   - TV에서는 일반 체중의 여성보다는 마른 여성만을 보여준다.

· 이상적인 신체상에 대한 노출이 청소년기 심리적 반응(부정적 감정, 자신의 신체에 대한 왜곡된 인식, 신체 불만족 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Levine & Harrison, 2004).

   - 미디어에서 이상적인 신체상을 시청한 경우는 평균적이거나 플러스 사이즈의 몸매를 본 경우보다 낮은 신체만족도를 보고되며, 이러한 효과는 어린 여성과 원래부터 신체불만족도가 높았던 집단에게서 더 크게 나타난다

· 청소년기 미디어 사용과 신체 불만족 간에 유의한 상관이 보고되었다(Harrison & Hefner, 2008).

   - 드라마나 뮤직비디오를 더 많이 시청하거나 일주일에 두 번 이상 잡지를 보는 여자 청소년일수록 신체만족도가 낮았지만(Tiggemann & Pickering, 1996), 종단연구에서는 잡지를 제외한 TV만이 신체상과 관련하여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다(Harrison & Hefner, 2006).

· FijiTV를 들여오고 1개월과 3년 뒤에 조사를 실시한 결과, TV에 대한 장기간 노출이 부정적인 신체 이미지 형성과 섭식장애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Becker, 1995; Becker, Burwell, Herzog, Hamburg, & Gilman, 2002).

   - TV 도입 후 3년동안 여자 청소년들 중 섭식 장애를 보이는 비율이 두 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 집에 TV가 있는 여자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섭식 장애를 보일 가능성이 3배 이상 높았다.

   ☞ Fiji와 다른 문화적 맥락에서도 대중 매체는 사회적으로 정의된 미적 기준을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수용하게 하고, 과도한 외모 비교를 조장하여 신체상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형성하게 할 것이라 여겨진다.

· 자신이 마른 몸매를 원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자신의 신체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경향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이 미디어에 영향을 받는 정도를 높게 인식할수록 마른 몸매를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가 청소년의 신체상에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타인이 인식하는 이상적인 신체상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에 미디어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 마른 몸매를 이상화하는 것에 대해 회의적인 관점을 제시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실제 이상적인 신체상에 대한 내면화를 감소시켰으며(Irving & Berel, 2001), 미디어가 신체불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이었다(Posavac, Posavac, & Weigel, 2001).

 

D. Tobacco, alcohol, and illicit drug use

· 담배와 술에 대한 광범위한 광고가 이루어짐에 따라 미디어가 청소년기 약물 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 청소년은 담배와 주류 산업의 목표 소비자가 아니지만, 담배/주류 광고는 청소년들로 하여금 흡연과 음주가 매력적인 것으로 인식하게 한다.

   - 담배/주류 광고는 청소년들이 열망하는 특성(성적으로 매력적이거나 반항적인 이미지 등)을 포함하고 있다.

   - 실제 담배/주류 광고는 청소년이 시험삼아 담배를 피우거나 술을 마시는 것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다((Atkin, 1993; Gerbner, 1990; Pierce, Gilpin, & Choi, 1999).

· 담배 광고의 노출과 청소년의 흡연 간 유의한 상관이 보고되었을 뿐만 아니라(Lovato, Linn, Stead, & Best, 2003), 일부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흡연에 광고가 미치는 영향이 또래나 가족의 영향보다 크다고 보고된다(Pierce et al., 1998; Sargent et al., 2000).

· 미디어에서 술에 대한 묘사가 담배에 비해 많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음주에 대한 노출이 청소년 음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 주류 광고와 청소년 음주에 대한 선행연구는 흡연 연구에 비해 부족하지만, 대체적으로 주류 광고에 노출되는 것이 청소년기 음주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된다(Collins et al., 2007; Stacy, Zogg, Unger, & Dent, 2004).

· 미디어가 청소년기 약물사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청소년이 대중 매체로부터 약물사용을 인식하는 데 있어 개인차가 있는지 확인하고, 이러한 인식 차이가 흡연/음주에 대한 태도나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후속연구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 최근 대중매체가 마약사용을 미화하는 것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디어가 마약사용에 미친 영향에 대해 살펴본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 미디어와 마약사용에 관한 연구는 개인이 선호하는 음악 장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 특정 음악 장르의 가사나 뮤직 비디오에서 마약에 대한 언급 비율이 더 높다,

   - , 헤비메탈, 테크노 음악의 팬들이 다른 음악 장르의 팬들보다 마약 경험 비율이 높았다.

   ☞ 이후 연구에서 왜 특정 유형의 음악을 선호하는 것이 약물사용과 관련이 있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Ⅴ. Retrospect and Prospect

 

· 미디어 내용 분석이나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에 관한 연구는 많은 반면 미디어 이용이 청소년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 청소년의 특성이 미디어 콘텐츠 해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의 영향력만을 탐색했을 뿐 청소년기 발달 단계를 고려한 연구는 거의 없다.

· 대부분의 청소년기 미디어 연구는 문제 중심의 시각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청소년기에 성적 행위나 약물사용 등이 증가한다고 인식하기에 이러한 문제행동에 대한 미디어의 역할에 의문을 제기하는 식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 청소년기 미디어 연구는 크게 세 가지 범주의 주제(① 내용 분석, ② 미디어 이용행태, ③ 미디어 이용의 효과)로 구분된다.

   - 내용 분석과 관련하여서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미디어에서 청소년기와 연관된 문제들을 얼마나 많이, 그리고 어떻게 묘사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 미디어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내용으로는 첫째, 청소년기 특성상 미디어 이용시 혼자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둘 째, 청소년들을 주요 타켓으로 한 미디어 채널과 컨텐츠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들에게 있어 미디어 멀티태스킹은 매우 중요한 현상이다.

   - 미디어 이용의 효과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횡단연구이거나 조사연구, 혹은 단기 실험연구이기 때문에 종단연구나 관찰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 미디어가 청소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에 있어 발달 이론을 접목한 연구가 드문 실정이다. 그런데 청소년기 발달 특성 상 독립적으로 자아탐색을 활발히 수행한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미디어는 청소년기 사회화에 주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청소년기 발달 특성에 대한 이론과 미디어 관련 이론을 접목하여 청소년기 발달 특성이 미디어 사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반대로 미디어가 청소년기 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