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학 자료/아동보육

프로젝트 접근법

대학원생A씨 2021. 7. 7. 08:50
반응형

지난 포스팅에서 대표적인 보육 프로그램 중 하나인 몬테소리 프로그램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John Dewey의 이론적 바탕 위에 Kilpatrick이 제안한 '프로젝트 접근법(the project method)'을 소개하고자 한다. 몬테소리 프로그램이 궁금하신 분들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면 되고, 이번 포스팅 작성을 위해 아래와 같은 참고문헌을 인용하였다.

2021.07.06 - [아동학 자료] - 몬테소리 프로그램

 

정옥분, 권민균, 김경은, 김미진, 노성향, 박연정, 손화희, 엄세진, 윤정진, 이경희, 임정하, 정순화, 정현희, 최형성, 황현주(2015). 보육학개론. 서울: 학지사

 


1. 프로젝트 접근법의 교육철학

  • 생활과 분리되지 않는 교육: 프로젝트 접근법은 "학교가 곧 생활이다."라고 하는 관점을 통해 아동이 교육기관을 노력하고 몰두하는 공간으로 인식하도록 시간과 공간적인 경험의 연계성을 강조한다.
  • 전인발달의 도모: 프로젝트 접근법은 아동 발달에서 영역 간의 균형과 조화가 이루어지는 전인발달을 도모한다.
  • 아동과 교사 간의 균형과 조화가 이루어지는 교육: 교사는 계획과 준비, 기록과 평가를 하면서 아동의 능력과 흥미에 따라 교육 과정을 조정하면서 진행시킨다. 이때 교사와 아동은 교육과정을 함께 공동으로 주도하면서 진행한다.
  • 공동체 정신을 살리는 교육: 아동이 같은 주제를 놓고 서로 질문도 하고 의문점도 가져보고, 또 문제를 협의하고 협동하여 해결해나가게 함으로써 공동체 정신을 함양하게 해준다.
  • 현실 상황에 대처하는 적극적 도전의식: 교사는 어려운 교육적 상황을 도전으로 받아들여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긍정적인 측면에서 어려움을 해결하고 창의성을 가지도록 도와주는 교육을 실현한다.

 

2. 프로젝트 접근법의 방법

  • 집단토의: 다양한 문제와 아이디어에 대해 토의하기 위해서는 학급 전체 혹은 소집단으로 모여 교사의 지도와 서로의 의견 교환을 하는 것이 유용하다. 유아들은 소집단으로 이야기를 나눌 때 보다 잘 참여할 수 있으며, 교사 또한 보다 쉽게 유아의 생각을 이끌어주고 바르게 사고하도록 도울 수 있다.
  • 현장활동: 유아들은 보고, 듣고, 냄새 맡고, 기타의 감각을 이용한 직접 경험을 통하여 새로운 정보를 이해할 때 가장 잘 학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아의 연령이 낮을수록 프로젝트의 내용은 유아의 가정과 밀접하게 연관된 사물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표현: 유아들은 개인적 경험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검토하고 조직적으로 정리한다. 이들은 각자의 경험과 견해에 있어서의 차이점에 대해 논의하고 앞으로 조사해야 할 질문 사항을 작성한다. 또한 유아들은 그림을 그리고 글을 쓰며 수학 기호를 사용하고 연극으로 꾸미며 모델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의 기초적 기능을 습득해감에 따라, 점차 다양한 표현기법을 사용하여 자신의 경험 결과를 해석, 정리 및 표현할 수 있게 된다.
  • 조사: 프로젝트 활동에서는 다양한 자원을 사용하면서 주제에 대해 조사한다. 이때 유아들은 자신들의 부모, 가족, 전문가들을 면담할 수 있다.
  • 전시: 프로젝트 과정을 통해 유아들은 개인적으로 선택한 활동을 하기도 하고 연구의 여러 분야를 소집단으로 나누어 맡아 협동하면서 활동하기도 한다. 유아들의 활동에 관한 내용을 벽면이나 게시판에 전시하는 것은 유용한 자원을 제공할 뿐 아니라, 다른 친구들과 함께 각각의 활동이나 아이디어에 대해 상호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3. 프로젝트 접근법의 교육과정

프로젝트 접근법은 아래와 같은 4단계로 구성된다.

활동 1, 2단계
프로젝트의 준비와 시작
3단계
프로젝트의 전개
4단계
프로젝트의 마무리
토의 주제에 대한 현재의 지식과 경험 나누기 - 현장견학과 이차적 자원을 통한 활동계획
- 현장견학에 대한 검토
- 행사를 위한 활동계획
- 프로젝트 활동에 대한 검토와 평가
현장 활동 부모와 함께 주제망에 대한 경험하기 또는 의사소통하기 - 현장견학
- 전문가와의 면담
외부 사람을 초청하여 프로젝트 활동 평가
표현 주제에 대한 이전의 경험을 그리기, 쓰기, 구성활동, 역할놀이 등으로 표현 - 현장스케치
- 그리기, 쓰기, 수활동, 지도 만들기
프로젝트 활동과정 요약, 정리하기
조사 주제에 대해 알아보고 싶은 질문 만들기 - 작성했던 질문 조사
- 현장학습과 이차적 자원을 통한 조사 연구
- 심화된 질문 만들기
관심과 질문의 확장
전시 주제에 대한 개인적 표현을 전시하거나 함께 이야기 나누기 - 주제에 대한 새로운 지식과 경험을 표현하여 전시하거나 함께 이야기 나누기
- 프로젝트 활동과 기록하기
프로젝트의 전체 과정을 통한 학습 결과를 요악하여 전시하며 발표하기

 

4. 프로젝트 접근법에서 교사의 역할

  • 프로젝트 준비 단계에서 교사는 유아들과 주제를 진행하기 전, 주제망을 구성해본다. 주제망을 바탕으로 주제에 관한 기본 어휘와 중심개념을 정리하고, 주제와 관련된 학습활동 및 활동 목록안을 작성한다. 자원 목록을 구체적으로 작성하고 준비할 자원을 미리 준비하며, 부모들에게 프로젝트에 대해 알리고 협조를 구한다.
  • 프로젝트 시작 단계에서 교사는 교사와 유아, 유아들 간에 주제에 대한 경험과 지식 공유가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유아의 이해 수준이나 프로젝트에 숙달된 정도를 고려하여 브레인스토밍과 유목화, 주제망 구성하기를 진행하며 유아의 이전 경험을 말과 그림, 신체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도록 장려한다. 또한 주제에 대해 궁금함을 갖고 유아 스스로 조사해보도록 격려한다.
  • 프로젝트 전개 단계에서 교사는 유아의 특성에 맞게 활동에 참여하도록 하며, 유아들의 활동과정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그에 적합한 학습자료를 준비한다. 현장견학이나 전문가 초빙이 필요한 경우 유아들과 사전계획을 세우며, 프로젝트의 방향이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 수시로 확인하고 안내한다. 
  • 프로젝트 마무리 단계에서 교사는 주제망과 질문 목록을 검토하여 다루어진 내용을 평가해보며, 유아들이 계획한 활동이 잘 마무리되었는지 알아보아야 한다. 또한 전시회나 발표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모든 유아가 골고루 참여하도록 안배하며, 전시회가 끝난 후에는 유아들의 작품을 잘 보관한다.
반응형